“11학년, 성공적인 대입전략을 세워야 하는 중요한 시기”

대입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는 시기는 11학년이다. 대입 성공을 위해서는 11학년을 잘 보내야 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다. 그만큼 11학년은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올해 가을 11학년이 되는 학생들에게 이제 대입은 발등의 불이다. 특히 요즘처럼 입시 경쟁이 치열해지고 지속되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도 11학년에는 대입준비를 마무리하고 자신만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그렇다면 11학년에는 무엇을 어떻게 할까. 대입지원서 작성에 필요한 모든 것을 돌아보고 철저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

수강한 과목들을 리뷰하고 대입전형에 유리한 커리큘럼을 짜고 표준화시험 응시계획도 본격화한다. 꾸준하고 지속적인 과외활동을 더하고 대입전형에서 비중이 커지는 에세이 준비도 시작해야 한다.

미국 대학전형은 어느 하나의 스펙만 충족되어서 갈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비 11학년생에게 필요한 대입 준비 플랜을 정리해봤다.

■수업 선택은 신중하게

이제 자신이 지난 2년간 학교에서 어떤 과목들을 수강했는지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고 앞으로 어떤 과목을 수강해야 할 지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 수강한 과목들은 대입 전형에서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9~10학년때 대입에 꼭 필요한 기본과목들을 이수했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학교내 카운슬러나 교사의 도움을 받아 커리큘럼 작성을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꼭 필요한 과목이라면 학교 외에도 온라인이나 커뮤니티칼리지에서 추가로 이수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특히 이때는 지원할 대학의 이수 과목 관련 입학 요강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대학들은 입학 사정시 지원자들이 어떤 과목들을 공부했는가를 평가한다.

명문대의 경우 특히 도전적 과목들의 비중에 중점을 둔다. 이런 점에서 어너클래스나 AP 수업을 모두 들을 필요까지는 없지만 명문대에 요구하는 난이도가 높은 수업을 빠뜨리는 것은 좋지 않다.

참고로 명문대 진학을 위해 11학년이 수강해야 할 과목을 예로 들면 AP 생물, 프리 칼큘러스, 어너 미국문학, AP 미국사, 어너 프랑스어 3, PE, 선택과목 등이다. 물론 이들 과목을 반드시 들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고 또 학교 상황 등을 감안해야 한다.

■높은 GPA는 필수

내신 성적, 즉 GPA는 대입전형의 가장 중요한 스펙 중 하나다. 그래서 입학사정관이 가장 오랫동안 리뷰하는것도 바로 GPA다. 지원자의 학교 생활이 어떠했는지를 고스란히 보여주기 때문이다. 사정관들은 내신성적을 통해 지원자의 학업능력, 도전정신, 잠재력은 물론 관심사도 파악한다.

특히 11학년 성적은 그중 가장 중요하다. 대학들이 입학사정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최근의 성적이기 때문이다. 사실 조기전형이라면 대학들은 12학년 1학기 성적을 확인하지 못한다.

이런 점에서 9학년이나 10학년 때 기대하는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고 해도 실망하지 말고 11학년때 개선된 성적을 보여주면 사정관들의 눈길을 충분히 끌 수 있다. 학년이 오를수록 성적이 꾸준히 향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10학년까지 거의 높은 점수를 유지하다 11학년 때 점수가 떨어지면 오히려 회복하기 힘들다. 물론 고등학교 저학년부터 지속적으로 좋은 성적을 가지면 좋지만 고학년이 될수록 상승곡선을 그리는 학생들도 선호한다.

학업성적은 학생의 학문적 성취도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그 학생이 대학에 진학해서 성공할 확률이 얼마나 높은지 말해 주는 객관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어 중대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왕 잘하기로 마음 먹었다면 11학년에는 가급적 GPA가 4.0 혹은 그 이상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 좋다.

물론 11학년에도 성적이 기대에 못 미쳤다고 포기하면 안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대입전형은 내신성적 뿐 아니라 표준화시험 점수와 과외활동 등을 포괄적으로 평가한다. 나머지 스펙으로 부족한 성적을 어느 정도는 상쇄할 수 있을 것이다. 혹시 11학년 성적이 하락하게 된 집안이나 개인의 사정이 있다면 이를 대학지원서에 설명할 수도 있다.

■과외활동은 지속적으로

내신 성적과 표준화시험 점수 다음으로 대입전형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마 과외 활동일 것이다. 대학들은 학교 안에서 학업에 최선을 다했는가와 함께 교실 밖에서도 자신의 열정을 추구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는가를 살펴본다.

어떤 학생들은 두루두루 많은 분야의 과외활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꼭 그렇지 않다. 오히려 명문대들은 지원자의 개성과 장점을 잘 드러내는 어느 특정 분야에서 탁월함을 보이는 것에 더 많은 점수를 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과학을 좋아하고 자신있다면 과학 경시대회에 출전해 좋은 성적을 거두고 커뮤니티칼리지에서 과학 수업을 듣거나 자원봉사를 하는 식이다. 대학들은 이것저것 하는 것보다 한 두 가지라도 지속적으로 꾸준히 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 이런 점에서 9~10학년 때 참여한 액티비티나 과외할동을 가능하면 계속 고수하도록 노력하는 편이 좋다.

■봉사활동은 꾸준하게

대입전형에서 내신성적과 표준화시험 점수, 과외활동과 더불어 신경써야 할 것이 하나 더 있다. 바로 자원봉사다. 자원봉사는 지원자의 인성과 성실성, 그리고 커뮤니티에 대한 관심을 보여줄 수 있는 척도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커뮤니티 봉사활동을 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을 비교한 결과 봉사 활동 경험이 자아 정체성, 이타주의, 사회적 책임감 등 인성발달 및 사회환경 인식에 긍정적 변화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남을 돕기 위해 시작한 커뮤니티 봉사는 대학 진학에도 도움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대입사정관들은 지원자들이 선택한 봉사에 대한 ‘약속’을 지키는 가를 살핀다. 충동적 혹은 누군가에게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묵묵히 자신이 약속한 봉사에 헌신하는 것을 높이 평가한다는 말이다.

한 전문가는 해외에서의 화려한 자원 봉사와 같은 단기적 헌신보다는 로컬이나 주변에서 남들이 꺼리는, 매력 없어 보이는 봉사를 장기적으로 하는 지원자를 더 눈여겨 본다고 설명했다. 단순히 고교시절의 스펙을 하나 채워 놓기 보다 순수한 마음으로 나서는 학생들이 매력적이라는 것이다.

출처 :한국일보

Previous
Previous

블랙홀과 흑인 관계 연구?…미 명문 코넬대 천문학 과목 논란

Next
Next

북한 공인영어시험 '토플' 평균 87점…남한보다 1점 높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