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고급 AI 인재 절반은 중국인...57%는 미국에서 근무

전 세계 고급 인공지능(AI) 연구원 중 47%가 중국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57%의 연구원은 미국에서 근무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뉴욕타임스는 22일(현지시간) 시카고 대학 폴슨 연구소 산하 싱크탱크인 마르코폴로의 보고서 ‘글로벌 AI  인재 추적(The Global AI Talent Tracker)’를 인용, 중국이 최고 수준의 연구원을 가장 많이 배출한 국가라고 보도했다.

마르코폴로는 최고 AI 과학자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2022년 12월 열린 ‘뉴립스(NeurIPS) 학회’에서 발표된 논문의 저자들을 분석했다.

이들은 총 1만411건의 논문을 제출했으며 이중 25.7%가 채택됐다. 뉴립스는 높은 논문 접수율을 자랑하는 인기 높은 학회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부 기준으로 전체 47%가 중국 출신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 29%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다.

AI 교육에 막대한 중국의 투자 때문으로 분석됐다. 데미안 마 마르코폴로 상무는 “중국은 2018년부터 2000개가 넘는 학부 AI 프로그램을 추가했으며, 그 중 최고 명문 대학에는 300개가 넘는 프로그램이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고급 AI 연구자 중 57%는 미국 대학과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등 미국이 세계 고급 AI 인재를 빨아들이는 블랙홀로 나타났다.

미국에서 일하는 연구원 중 60% 이상이 외국인이다. 중국 출신 연구원이 38%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인은 37%다. 2019년에는 미국에서 근무하는 고급 AI 인재의 27%가 중국 출신이었고, 미국 출신은 31%였다.

매트 시한 카네기 국제평화기금 펠로우는 “이 데이터는 AI 경쟁력을 위해 중국 출신 연구자들이 미국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라며 “미국은 중국에서 인재를 지속적으로 유치하고 유지하기 때문에 AI 분야의 세계적 리더가 됐다. 데이터를 보면 미국이 여전히 매력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실제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외국인의 77%가 미국에 머물며 AI 세계의 글로벌 중심지로 만드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급 AI 인재를 많이 근무하고 있는 AI 연구 기관으로는 구글이 꼽혔다.

이어 2위 스탠포드대학, 3위 칭화대학, 4위 MIT, 5위 카네기 멜론 대학, 5위 베이징 대학, 6위 UC 버클리 대학, 7위 마이크로소프트, 8위 메타, 9위 옥스포드 대학, 10위 ETH 취리히 순이다.

구글을 제외하면 기업보다 대학이 상위권을 대부분 차지한 것이 특징이다.

 

출처 : AI타임스

Previous
Previous

학령인구 감소 불구 국제학교 입학생 증가세...제도 보완 시급

Next
Next

공부 머리는 유전인 줄만 알았는데…'놀라운 결과'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