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본·싱가포르 학생들이 공부 잘하는 이유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22’ 조사에서 선진국의 학업 성취도는 떨어진 반면 한국과 일본·싱가포르·대만 등 극소수 국가들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 등 외신들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에 대한 국가별 대응 차이가 학업 성취도 격차를 불러왔다고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PISA 2022’ 조사에서 37개 OECD 회원국의 만 15세 학생들의 평균 점수는 직전 조사인 2018년에 비해 수학에서 16점, 읽기에서 11점, 과학에서 2점 각각 하락했다.

통상 점수 20점이 내려가면 이전보다 학년 1년만큼 성취도가 뒤처진 것으로 간주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이전보다 수학은 약 4분의 3학년, 읽기는 2분의 1학년만큼 뒤처졌다는 뜻이라고 외신들은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런 수준의 (점수) 하락은 재앙"이라고 보도했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유례없는 세계적 하락"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점수가 가장 많이 떨어진 수학의 경우 오랫동안 높은 학업성취도로 주목받아온 핀란드를 포함해 프랑스, 독일, 폴란드, 노르웨이 등의 점수가 20점 이상 하락했다.

반면 한국은 수학과 읽기는 1점씩, 과학은 9점 상승했으며, 대만, 일본, 싱가포르도 오히려 수학 등의 점수가 높아졌다.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각국 교육 당국은 이들 소수 선진국을 부러워할 것"이라고 짚었다. 이런 차이를 낳은 요인으로는 우선 팬데믹에 대한 대응의 차이가 꼽혔다. 한국의 경우 엄격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오래 지속됐지만, 팬데믹 첫해인 2020년 정부가 계약제 교사 같은 교육 지원 인력을 3만 명 고용하는 등 학생들을 많이 지원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설명했다.또 원격 수업의 품질 차이도 학업성취도 격차를 만든 것으로 분석됐다.

출처 : 문화일보

Previous
Previous

공부 잘하는 학생, 완벽주의‧시험불안 오히려 낮아’

Next
Next

대학 졸업 후 돈 가장 많이 벌게 해주는 대학은…‘하버드’ 말고 ‘여기’